728x90
이번에는 저번 포스팅에서 나왔던 결과를 시각화 해보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저번과는 다른게 있습니다
저번에는 예제 그대로 미국 허리케인 matthew로 진행했지만
컴퓨터 사양 문제로 격자를 크게 잡을 수 없고 크게 잡는거랑은 별개로 육지의 비중이 너무 작아서
도메인을 조금 수정해서 한반도에서 진행했습니다
이전 결과는 이렇게 출력이 됩니다
수정한 도메인을 보여드리겠습니다
&geogrid
e_we = 120,
e_sn = 120,
ref_lat = 37.541,
ref_lon = 126.986,
truelat1 = 35.0,
truelat2 = 60.0,
stand_lon = 127.0,
다른 부분은 바뀐게 없고 이렇게 7개만 변경했습니다
ref_lat, ref_lon의 위경도는 서울시청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begin
a = addfile("./wrfout_d01_2016-10-06_00.nc", "r")
type = "png"
wks = gsn_open_wks(type, "test2")
opts = True
opts@MainTitle = "GEOGRID FIELDS"
opts@InitTime = False
opts@Footer = False
ter = wrf_user_getvar(a, "HGT", 0) #WRF 결과에서 고도를 가져옴
wrf_smooth_2d(ter, 3) #smoothing
res = opts
res@gsnMaximize = True
res@cnFillOn = True
res@ContourParameters = (/0., 1800., 50./) #contour 간격
res@mpOutlineBoundarySets = "GeophysicalAndUSStates" #contour 표시 수준
contour = wrf_contour(a, wks, ter, res)
pltres = True
mpres = True
mpres@mpDataBaseVersion = "MediumRes" #지도 버전
mpres@mpDataResolution = "FinestResolution" #지도 해상도
mpres@mpDataSetName = "Earth..4" #지도 데이터
mpres@mpGridAndLimbOn = True
mpres@mpPerimOn = True
mpres@mpGeophysicalLineColor = "Black"
mpres@mpGridLineColor = "Black"
mpres@mpLimbLineColor = "Black"
mpres@mpNationalLineColor = "Black"
mpres@mpPerimLineColor = "Black"
mpres@mpUSStateLineColor = "Black"
mpres@mpGeophysicalLineThicknessF = 3.0
plot = wrf_map_overlays(a, wks, (/contour/), pltres, mpres)
end
이번 코드입니다
필요한 부분들은 제가 주석을 달아놓겠습니다
주석이 더 필요한 부분들은 제가 공부해서 계속 달아놓겠습니다
결과입니다
728x90
'NC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10: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3 (0) | 2023.06.22 |
---|---|
작업9: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2 (0) | 2023.06.21 |
작업7: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3 (0) | 2023.05.03 |
작업6: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2 (0) | 2023.05.02 |
작업5: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1 (4)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