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CL 15

ncl : fatal:syntax error: line in file before or near do

정말 오랜만에 글을 써보네요 종강을 하고 국가 사업에 참여연구원으로써 매진을 하다보니 너무 오랫동안 아무것도 쓰지 못한 것 같습니다 물론 하는 일이 공개하면 안되는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그렇기도 하지만 오래만에 쓸 수 있는 내용이 나왔습니다 오늘은 제목에서 나와있는 에러를 해결해보겠습니다  일단 이번에 발생한 에러는 아래와 같습니다fatal:syntax error: line 45 in file JWBI.ncl before or near do 아무리 봐도 do와 들여쓰기 수준을 맞춰서 썼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발생했습니다 이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보통 2가지 에러가 대표적입니다   1. 해당 에러가 발생한 라인 앞에 부분 코드에서 괄호가 잘 닫히지 않은 경우   2. 해당 에러가 발생한 라인 앞에 부분 코드..

NCL 2024.07.12

NCL로 상층 등고선과 풍향풍속 그려보기

이번에는 850, 700, 500, 300hPa에서의 지위고도 선과 풍향 풍속을 그려보겠습니다 이번 코드에는 조건문이 들어갑니다 각 일기도마다 그려지는 자료들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자주 쓴건 아니지만 어려운 부분은 아닙니다 주석으로 달아놓겠습니다 자료는 저번 포스팅에서 봤던 WRF 결과를 사용했습니다 코드입니다 begin f = addfile("./wrfout_d01_2016-10-06_03.nc", "r") times = wrf_user_list_times(f) ntimes = dimsizes(times) wks = gsn_open_wks("png", "wrf") pressure_levels = (/850., 700., 500., 300./) #압력 레벨 nlevels = dimsizes(pressure..

NCL 2023.07.20

작업12: NCL로 기상자료 입력하기

이번에는 NCL을 이용해서 지도를 그리고 그 위에 기상전문을 입력시켜셔 일기 부호를 입력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기상전문에 대해 설명이 조금 필요합니다 NCL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전문 작성 방식입니다 영어로 되어 있어서 한글로 무슨 의미인지 뒤에 달아두겠습니다 character 0=iR-the precipitation data indicator #강수 자료 표시 character 1=iX-weather data and station type indicator #일기 자료 표시 character 2=h-height above ground of base of lowest cloud #운저고도 characters 3-4=VV-visibility in miles and fractions #시정 chara..

NCL 2023.07.16

작업11: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4

이번에는 이전 포스팅과 같은 그림이지만 WRF 결과를 보면 3시간 단위로 2016년 10월 6일 00:00:00 부터 10월 8일 00:00:00까지 총 17개의 파일이 있습니다 아 파일들을 반복문을 이용해서 한 번에 그려지도록 해보겠습니다 begin DATADir = "/home/lsh/" FILES = systemfunc("ls -1 /home/lsh/wrfout*") ;ls -1 로 해당 디렉토리 안에 wrfout이 들어간 파일들을 전부 변수로 지정 numFILES = dimsizes(FILES) print("numFILES =" + numFILES) print(FILES) print(" ") type = "png" wks = gsn_open_wks(type, "Surface_multi") res ..

NCL 2023.06.22

작업10: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3

이번에는 저번 포스팅에서 이슬점 온도와 풍속 풍향 그림의 결과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코드는 다른게 없으니 코드와 결과 사진만 올려드리겠습니다 begin a = addfile("./wrfout_d01_2016-10-06_00.nc", "r") type = "png" wks = gsn_open_wks(type, "Surface") res = True res@MainTitle = "REAL-TIME WRF" pltres = True mpres = True mpres@mpDataBaseVersion = "MediumRes" mpres@mpDataResolution = "FinestResolution" mpres@mpDataSetName = "Earth..4" mpres@mpGridAndLimbOn = True mp..

NCL 2023.06.22

작업9: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2

이번에는 조금더 복잡한 그림을 그려보겠습니다 이번 그림은 변수가 하나가 아니라 기온, 풍향, 풍속, 기압 이렇게 4가지 변수를 한 번에 그렸습니다 이슬점온도와 풍향, 풍속을 그린 코드도 함께 있지만 그 부분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습니다 begin a = addfile("./wrfout_d01_2016-10-06_00.nc", "r") type = "png" wks = gsn_open_wks(type, "Surface") res = True res@MainTitle = "REAL-TIME WRF" pltres = True mpres = True mpres@mpDataBaseVersion = "MediumRes" mpres@mpDataResolution = "FinestResolution" mpres@mp..

NCL 2023.06.21

작업8: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1

이번에는 저번 포스팅에서 나왔던 결과를 시각화 해보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저번과는 다른게 있습니다 저번에는 예제 그대로 미국 허리케인 matthew로 진행했지만 컴퓨터 사양 문제로 격자를 크게 잡을 수 없고 크게 잡는거랑은 별개로 육지의 비중이 너무 작아서 도메인을 조금 수정해서 한반도에서 진행했습니다 이전 결과는 이렇게 출력이 됩니다 수정한 도메인을 보여드리겠습니다 &geogrid e_we = 120, e_sn = 120, ref_lat = 37.541, ref_lon = 126.986, truelat1 = 35.0, truelat2 = 60.0, stand_lon = 127.0, 다른 부분은 바뀐게 없고 이렇게 7개만 변경했습니다 ref_lat, ref_lon의 위경도는 서울시청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

NCL 2023.06.21

작업7: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3

오늘은 NCL로 0 ~ 23시까지 시간별로 그림을 한 번에 그려보겠습니다 오늘의 코드입니다 fi = addfile("/home/lee/MERRA2_400.tavg1_2d_rad_Nx.20220331.nc4", "r") time = fi->time lat = fi->lat lon = fi->lon ts = fi->TS ;resorece res = True res@gsnRightString = "Temperature unis : K" res@mpCenterLonF = 180 res@cnFillOn = True res@cnLinesOn = False res@cnLevels = ispan(200, 340, 10) res@cnLevelSelectionMode = "ExplicitLevels" ;res@cnMinL..

NCL 2023.05.03

작업6: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2

오늘도 NCL입니다 그동안은 한 프레임에 1가지 그림만 들어갔지만 이번에는 파이썬에서 ax[2,2]처럼 여러 가지 그림을 한 번에 그려보겠습니다 추가로 반복문을 이용해서 0 ~ 23까지 시간별로 있는 그림들을 한 번에 그려보는 것도 해보겠습니다 오늘 코드입니다 fi = addfile("/home/lee/MERRA2_400.tavg1_2d_rad_Nx.20220331.nc4", "r") time = fi->time lat = fi->lat lon = fi->lon ts = fi->TS ;wks open plt = new(4, graphic) wks = gsn_open_wks("png", "surface_tem") hour = (/"0H", "1H", "2H", "3H"/) ;resorece res = Tr..

NCL 2023.05.02

작업5: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1

오늘은 오랜만에 NCL 포스팅 입니다 기상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인 netCDF 자료를 시각화 해보겠습니다 먼저 코드입니다 fi = addfile("/home/lee/MERRA2_400.tavg1_2d_rad_Nx.20220331.nc4", "r") time = fi->time ts = fi->TS({0},:,:) lat = fi->lat lon = fi->lon wks = gsn_open_wks("png", "surface_tem") res = True res@gsnLeftString = "Surface Skin Temperature" res@gsnRightString = "Temperature unis : K" res@mpCenterLonF = 180 res@cnFillOn = True re..

NCL 202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