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번에는 NCL을 이용해서 지도를 그리고 그 위에 기상전문을 입력시켜셔
일기 부호를 입력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기상전문에 대해 설명이 조금 필요합니다
NCL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전문 작성 방식입니다
영어로 되어 있어서 한글로 무슨 의미인지 뒤에 달아두겠습니다
character 0 = iR - the precipitation data indicator #강수 자료 표시
character 1 = iX - weather data and station type indicator #일기 자료 표시
character 2 = h - height above ground of base of lowest cloud #운저고도
characters 3-4 = VV - visibility in miles and fractions #시정
character 5 = N - total amount of cloud cover #전운량
characters 6-7 = dd - direction from which wind is blowing #풍향(16방위)
characters 8-9 = ff - wind speed in knots #풍속(단위 : Knots)
If character 10 = "1", then #1로 시작하는 부분은 온도 자료를 나타냄
character 11 = sn - sign of temperature #온도 자료의 부호(0 : 영상, 1 : 영하)
characters 12-14 = TTT - current air temperature #기온(소수점 없이 표기, 26.9 => 10269)
If character 15 = "2", then #2로 시작하는 부분은 이슬점 온도 자료를 나타냄
character 16 = sn - sign of temperature #이슬점 온도 자료의 부호(0 : 영상, 1 : 영하)
characters 17-19 = Td - dew point #이슬점온도(소수점 없이 표기, 21.9 => 20219)
If character 20 = "3", then #관측소 기압 (잘 사용하지 않음, 30000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음)
characters 21-24 = PO - station pressure (not plotted)
If character 25 = "4", then #해면 기압(대부분 해면 기압으로 표시함)
characters 26-29 = PPPP - pressure reduced to sea level
#소수점 한 자리로 표시(40071 : 1007.1hPa, 49987 : 998.8hPa)
If character 30 = "5", then #기압 변화량을 나타냄
character 31 = a - characteristic of barograph #기압 변화 경향 (계속 하강, 계속 상승, 일정 등)
characters 32-34 = ppp - pressure change, last 3 hrs. #3시간 동안의 기압 변화량
If character 35 = "6", then #강수량 자료
characters 36-38 = RRR - precipitation #강수량 자료
character 39 = tR - time duration of precipitation #집수 시간
If character 40 = "7", then #일기 자료
characters 41-42 = ww - present weather #현재 일기
character 43 = W1 - most significant past weather #과거 일기
character 44 = W2 - 2nd most sig. past weather #과거 일기
If character 45 = "8", then #구름 자료
character 46 = Nh - Fraction of sky cover #중하층 운량
character 47 = CL - cloud type, low clouds #하층 운형
character 48 = CM - cloud type, medium clouds #중층 운형
character 49 = CH - cloud type, high clouds #상층 운형
읽어보시고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상자료들은 기상자료개방포털과 방재기상정보시스템에서 참고할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참고해서
전문을 입력했습니다
없는 부분들은 관측된 마지막 시점의 자료를 가져다 쓰거나 임의의 값을 넣는 식으로 완성했습니다
코드입니다
begin
cities = (/"Gangneung", "Seoul", "Jeju", "Gwangju", " Busan"/)
city_lats = (/37.75147, 37.57142, 33.51411, 35.1729, 35.1047/)
city_lons = (/128.89099, 126.9658 ,126.52969, 126.8916, 129.032/)
imdat = (/"11246923021024820219300004006454000600517706089030", \
"11216909021026220234300004005953003600117626087521", \
"11227718041027020242300004006950005600017626282105",\
"11211918031026220250300004007150005602817102189500",\
"11208818051023920219300004007358001607617102285258"/)
cmap = (/(/1., 1., 1./),(/0., 0., 0./)/)
wks = gsn_open_wks("png", "synop chart")
gsn_define_colormap(wks, cmap)
mpres = True
mpres@gsnMaximize = True
mpres@gsnFrame = False
mpres@mpLimitMode = "Corners"
mpres@mpLeftCornerLonF = 125.
mpres@mpRightCornerLonF = 130.
mpres@mpLeftCornerLatF = 32.
mpres@mpRightCornerLatF = 39.
mpres@mpGeophysicalLineColor = "Black"
mpres@mpGeophysicalLineThicknessF = 1.5
mpres@mpOceanFillColor = "lightcyan"
mpres@mpLandFillColor = "lightyellow"
mpres@mpDataBaseVersion = "HighRes"
mpres@mpDataResolution = "FinestResolution"
mpres@mpDataSetName = "Earth..4"
mpres@mpGridAndLimbOn = True
mpres@mpGridAndLimbDrawOrder = "Draw"
mpres@mpOutlineOn = True
mpres@mpNationalLineThicknessF = 2.0
mpres@mpGridLatSpacingF = 1
mpres@mpGridLonSpacingF = 1
mpres@mpGridLineThicknessF = 1.5
map = gsn_csm_map(wks, mpres)
wmsetp("wbs", 0.06)
wmbarbmap(wks, 42., -99., 0., -15.)
wmsetp("ezf", 1)
wmstnm(wks, city_lats, city_lons, imdat)
frame(wks)
end
그리고 결과물입니다
지역은 수도인 서울과 제가 있는 강릉, 전라남도의 광주, 경상남도의 부산, 제주특별자치도
이렇게 5개의 지역을 정했습니다
색상은 분석일기도 색상을 최대한 참고했습니다
728x90
'NCL'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l : fatal:syntax error: line in file before or near do (6) | 2024.07.12 |
---|---|
NCL로 상층 등고선과 풍향풍속 그려보기 (0) | 2023.07.20 |
작업11: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4 (2) | 2023.06.22 |
작업10: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3 (0) | 2023.06.22 |
작업9: WRF 모델 결과 NCL로 시각화하기2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