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요즘 정말 많은 화제가 되고 있는 ChatGPT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우선 Chat GPT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Chat GPT는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대화형태로 하는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장이나 단어에 대해 Chat GPT가 질문을 하거나 실수를 지적하고
알 수 없는 명제들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잘못된 요청에 대해서는 거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보통 언어 모델들은 자동 완성 시스템을 이용합니다
'내가 OOO OO을 넣어서 물을 끓였더니 보리차가 나왔다' 라는 말에서 OOO OO만 보고는 뭔지 전혀 모르지만
뒤에 보리차가 나왔다 라는 결과가 있기 때문에 보리차 티백을 넣었다고 완성을 할 수 있는 것이죠
여기서 이제 중요한 말이 나옵니다
Chat GPT도 언어 모델이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제가 학교에서 배우는 수치모델도 대기 운동이나 상태를 수학 방정식 상태로 표현하고 슈퍼컴퓨터가 해를 구해서
현재 상태를 기반으로 미래 대기 상태를 예측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수학 방정식이라는 점입니다
y =ax + b, y = ax^2 + bx + c ... 처럼 다양한 방정식들이 있고 최고차항의 차수에 따라
일차 방정식, 2차 방정식 이렇게 부릅니다
그런데 대기 현상은 정말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인데 일차방정식처럼 간단하게 정의가 될 리 없겠져?
그래서 이런 복잡한 모델들은 차수가 굉장히 높습니다
사람이 계산할 수 없을 만큼 높기 때문에 슈퍼컴퓨터 같은 초고사양 컴퓨터들이 계산을 하는거죠
그럼 차수만 높게 설정한다고 해서 예측값이 나올까요??
그렇지 않겠죠
그래서 a, b, c 처럼 각 항 앞에 매개변수가 붙게 됩니다
어차피 모든 항들의 변수는 x나 y처럼 같은 값이 들어가기 때문에 매개 변수를 어떻게 정하냐에 따라
방정식의 해가 점점 원하는 값과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죠
지금 공개된 Chat GPT의 버전은 3.5로 2020년에 공개된 이전 버전인 Chat GPT-3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Chat GPT-3의 경우 매개 변수의 갯수가 무려 1750억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말 어마무시하게 많죠??
저렇게나 많은 매개 변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걸 생각하고 답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현재는 Chat GPT가 유료 버전과 무료 버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저는 무료버전을 사용했고 홈페이지에서 간단한 회원 가입만 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https://openai.com/blog/chatgpt/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hich interacts in a conversational way. The dialogue format makes it possible for ChatGPT to answer followup questions, admit its mistakes, challenge incorrect premises, and reject inappropriate requests. ChatGPT is
openai.com
회원 가입을 진행하고 사용화면으로 들어온 모습입니다
중앙 아래쪽에 긴 막대 부분에 질문을 입력하면 대답을 합니다
간단한 질문 먼저 해볼까요?
제가 Hello라고 질문을 하니 Hello! How can I help you today?라는 대답이 돌아온 모습입니다
바로 제가 궁금한 질문을 던져보겠습니다
제가 던진 질문은 Put a simple meteorological numerical model into Python and show me the code. 으로
간단한 기상학 수치모델을 파이썬으로 만들고 그 코드를 보여달라고 했습니다
Chat GPT는 다음은 오일러 방법을 사용하여 얕은 물 방정식을 푸는 파이썬에서 구현된 간단한 수치 날씨 예측 모델이다
라는 대답을 해줬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코딩까지 해준 모습입니다
저는 이걸 처음 했을 때 진짜 신기했습니다
우연이었던 건지 아니면 원래 그렇게 만들어진 건지 모르겠지만
같은 질문을 할 때 마다 다른 답을 내주었습니다
어디서 기사를 봤을 때 이전 질문들을 기억한다고 했던거 같아서 의도적으로 만든 거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코딩까지 해주고 가장 맨 아래쪽에
이렇게 코멘트까지 달아줬습니다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고 어떤 변수가 사용되며 사용자가 놓치기 쉬운 부분까지 체크해줍니다
진짜 사람같은 대답을 해주고 저희 교수님들이 말씀해주실 거 같은 대답을 해주는걸 보고 진짜 신기하고 대단했습니다
그럼 저 코드가 그냥 만든건지 진짜 생각을 해서 짠건지 알아봐야겠죠??
코랩에서 실행을 해보면
아래 같은 그림을 만들어줍니다
솔직히 처음 Chat GPT를 써보기 전에는 대답만 잘하는 인공지능이겠지 코딩까지 해봐야
얼마나 하겠어 라는 생각을 했는데 전혀 아니었던거 같습니다
한동안은 Chat GPT로 모델들을 더 요구해보면서 모델 공부를 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Chat GPT를 써보면서 후기를 계속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파이썬 > Chat G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24: Chat GPT 사용해보기3 (로렌츠 방정식) (0) | 2023.02.12 |
---|---|
작업23: Chat GPT 사용해보기2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