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도 제 블로그를 찾아주신 일곱 분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t분포와 p-value, 확률 밀도 함수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저번에 이제 선형 회귀 분석에서 결정계수와 p-value가 의미하는 것을 확인해봤습니다 p-value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먼저 student - t분포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원래 t-value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모르는 경우 표본의 표준편차를 가지고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추정할 때 사용하는 값 입니다 t-value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가 배운 방법으로는 상관계수를 검증하는 부분에서 나오기 때문에 상관계수를 이용해서 구합니다 상관계수를 구하는 공식은 이렇습니다 n-2는 자유도를 의미합니다 t-value는 2개의 모수가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n-2가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