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겨울이 거의 다 가고 봄철이 온 것 같습니다
어떤 분들에게는 봄철은 따뜻하고 평화로운 계절일 수도 있지만
저한테는 항상 산불을 조심해야하는 계절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작년 3월 초에도 울진과 동해에서 큰 산불이 있었죠
강릉도 산불이 동시에 나는 바람에 제 자취방까지 탄 내가 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대구 송현동에서 또 산불이 났다고 합니다
도시와 가까운 곳이라서 위험하다고 합니다
기상학도의 시선으로 산불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저번 울진 산불의 경우와 비교해서 한 번 보겠습니다
산불도 규모가 큰 재난재해인 만큼 위성사진으로도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먼저 울진 산불을 보겠습니다
위성 자료는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가져왔습니다
자세한 자료 설명은 아래 표에 있습니다
위성 이름 | 천리안 2A |
자료 레벨 | 기본영상 |
자료 종류 | RGB 천연색 (AI) |
영역 | 한반도 |
기간 | 2022년 3월 4일 오후 12시 ~ 오후 9시 (KST) (03:00 UTC ~ 12:00 UTC) |
산불이 보이는 부분에 제가 빨간색 동그라미를 쳤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lrcd3/btr1Xx957mF/oQ9HoKkVdksh9XIkMwdn4K/img.png)
2022년 3월 4일 오전 11시 14분 42초경 울진군 북면 두천리에서 처음 화재가 일어났습니다
약 46분 뒤인 오후 12시 위성 영상을 보면 연기가 피어오르는게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KtIC/btr116D7beS/ewb6yeZVoz1TrO0HVqGu51/img.png)
오후 3시경 산불의 연기가 꽤 크게 보이는 모습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3oDt/btr1WzmOxqv/ZBCoLGwrV3dBt4aVGQ62qk/img.png)
오후 6경 보면 넓게 퍼져 나가던 연기가 올곧게 동쪽으로 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때의 수직 측풍을 보면
![](https://blog.kakaocdn.net/dn/b0pORO/btr1Qya4Eq2/oICCI2kfBwCg0rLx22v7u0/img.png)
상층에서 서풍이 주가 되어서 불고 있고 풍속 또한 매우 강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때 바람이 굉장히 강해서 진화가 힘들었다고 기사도 있었습니다
화재 연기는 매우 뜨겁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상층으로 올라가고
상층에 강하게 부는 서풍 때문에 올곧게 동쪽으로 뻗어서 나갔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rUH8Q/btr16j4eLaQ/XH0Y6QcLNS9u1fRJwzRRmk/img.png)
마지막 오후 9시 사진을 보면
더 이상 올곧게 뻗어 나가지 않고 넓은 범위로 퍼져나가는 모습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YMez/btr18D2vO6B/iUL5N4rwiWMP6t7s1kK4d1/img.png)
다시 수직 측풍을 왁인해보면
오후 7시부터 상층 바람이 매우 약해졌고 이로 인해서 넓은 범위로 펴져나간 화재 연기가
위성 영상에 담긴 모습입니다
오늘 포스팅에 주된 내용인 대구 산불도 비슷하게 확인해보겠습니다
대구 산불은 오후 6시 정도부터 발화가 시작했다고 합니다
위성 이름 | 천리안 2A |
자료 레벨 | 기본영상 |
자료 종류 | RGB 쳔연색(AI), 적외 (11.2 micro meter) : 대기창 |
영역 | 한반도 |
기간 | 오후 9시 ~ 오전 12시 (KST) (15:00 UTC ~ 18:00 UTC) |
![](https://blog.kakaocdn.net/dn/b0CV8U/btr1VepPwog/4h32kciVdH8KxREPt2JKX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vxfZV/btr1Mi7thiZ/GwkNnGSmr9lt0gLigp2mb0/img.png)
위에 두 사진은 오후 9시와 3월 5일 오전 12시 사진입니다
경상도 지역에 구름이 꽤 있는 모습입니다
적외 영상으로 확인해보면
![](https://blog.kakaocdn.net/dn/bInRkT/btr1VddoNNh/RpolpD37UKvdLbWWkTYD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74IN6/btr1YKnX8tw/I8bQfXEyVBUkrktf5aHlq1/img.png)
온도가 높을수록 어둡게 보이는 적외 영상이기 때문에
경상도 지역에 있는 것들이 구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울진과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9vtTm/btr1147t5K3/7OKESmxNjgn1VMnrTnjjoK/img.png)
울진의 오후 3시 영상을 보면 빨간 동그라미 친 부분에
구름보다는 더 어두운 색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층운이라고 하기에는 다른 지역의 하층운보다도 밝기가 어둡기 때문에
화재 연기라고 추정이 가능합니다
아쉽게 대구지역은 구름이 껴있는 탓에 울진처럼
뚜렷하게 확인이 힘들었습니다
물론 화재 연기가 구름과 함께 날아갔을 수도 있지만
좀 더 확실하게 보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했습니다
보통 산불이 나면 그 지역의 식물이 많이 타기 때문에
식생지수가 낮아집니다
아직 3월 4일의 식생 위성 사진이 나오지 않아서
확인을 못해봤습니다
위성 사진이 나오는 대로 조회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산불은 기상과도 관련이 깊다고 생각합니다
발화 원인은 저마다 다를지 모르지만
화재가 시작될 시점의 습도, 시작되고 나서의 풍향과 풍속처럼
산불의 규모에 영향을 크게 주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위성 영상으로 산불을 알아봤습니다
큰 규모의 현상들이 나타난다면 앞으로도 알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파이썬 > 기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리안 2호로 하동 산불 보기 (+ 기압골, 경도풍) (0) | 2023.03.12 |
---|---|
천리안 2호 위성으로 합천 산불 보기 (+ 푄 현상, 양간지풍) (2) | 2023.03.08 |
작업25: 강릉 강설 분석해보기 (2) | 202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