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또 다시 하동에 산불이 났다고 합니다
뉴스를 보니까 한 두 군데 난게 아니더군요
광주, 하동, 대구부터 충남에서 4건, 경기도에서도 2건이 났다고 합니다
매년 3월에서 4월에는 산불이 자주 났다고는 하지만 유독 올해는 전국적으로 많이 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 났던 산불 중 대응 2단계 발령까지 났던 하동 산불을 보려고 합니다
저는 어떤 걸 보거나 분석하기 위해서는 비교 대상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앞에 대구와 합천 산불의 경우도 울진과 비교를 했었죠
이번에도 울진 산불과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조금 다릅니다
이전에는 RGB 천연색 채널로 산불의 연기가 피어오르고 흩어지는 모습을 직접 봤다면
이번에는 아예 천리안 2호에 있는 산불 탐지 채널을 이용했습니다
한 번 볼까요?
산불 탐지는 빨간색 네모가 계속 줄어들었다가 늘어났다가 하기 때문에 잘 보셔야합니다
규모가 엄청 큰 산불이었던 만큼 한 곳에 오래 지속이 되고 있고 범위도 큰 모습입니다
다음은 하동입니다
하동은 진짜 잠깐 나오기 때문에 두 눈 부릅뜨고 보셔야합니다
앞에서 천연색 채널로 봐도 잘만 보이던데 왜 굳이 산불탐지로 봤을까요?
이유는 일기도와 위성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한 눈에 봐도 구름이 엄청 많은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꾸물꾸물해진 이유도 알아보면 좋을거 같아요
내일은 또 비도 오고 그런다던데 구름이 많이 낀 원인과 비가 오는 이유도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일기도를 보려고 하는데 조금 자세히 볼 필요가 있고 사전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합니다
제가 다니는 대기환경과학과에서는 3학년 때 기상 역학이라는 과목을 배웁니다
이 과목에서 배우는 내용 중에 자연에서 작용하는 힘들이 균형을 이뤄서 만들어지는
몇 가지 바람들을 배웁니다
지균풍, 관성풍, 경도풍, 선형풍 이렇게 4가지입니다 (풍이 아니라 류라고 써도 같은 말입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볼 건 경도풍입니다
경도풍은 기압경도력, 전향력, 원심력 이렇게 3가지 힘이 균형을 이루어서 부는 흐름입니다
나머지 지균풍, 관성풍, 선형풍은 정말 특별한 상황, 한 가지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하지만
경도풍은 모든 힘의 균형을 고려하는 만큼 가장 흔하게 존재합니다
공식으로는 이렇게 표현합니다
공식을 보여드리는 이유는 외우거나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런 느낌은 절대 절대 아닙니다
앞으로 설명드릴 내용들이 과학적으로 유도되고 증명된다는 걸 알려드리고 싶어서 가져왔습니다
저렇게 경도풍 공식으로 크게는 두 가지 회전에 대한 풍속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저기압성 회전과 고기압성 회전 이렇게 말이죠
공식으로 구해보면 저기압성 회전이 고기압성 회전보다 풍속이 느리다는 걸 구할 수 있습니다
이 사실을 가지고 다음 그림으로 가보겠습니다
상층에서 등압선이 이렇게 있다고 해봅시다
상층이라고 하면 500hPa 고도를 말합니다 (gpm 으로는 5000m, 즉 5km 이상의 높이입니다)
상층 5km는 대기경계층을 벗어난 자유대기이기 때문에 지면과의 마찰력의 영향이 적어서
바람이 주로 등압선과 같은 방향으로 부는 지균풍이 많이 붑니다
상층에서는 기압배치가 바람의 방향과 거의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바람이 불면 1번 부근에서는 완전히 원 운동을 하지 않아도 반 정도 시계방향의 운동이 생깁니다
그래서 고기압성 회전이 생기게 됩니다
3번도 비슷하게 1번과 반대로 반시계 방향의 운동이 생겨서 저기압성 회전이 생깁니다
여기까지는 쉽지만 중요한 부분은 2번과 4번 입니다
위에서 경도풍 공식에 의해서 저기압성 경도풍 < 고기압성 경도풍 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럼 2번 부분은 고기압성 경도풍에서 저기업성 경도풍으로 넘어가는 지점이죠??
이 부분에서는 속도가 빠르다가 느려지기 때문에 공기의 수렴이 일어납니다
수렴되는 정도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이 넘어가면 더 이상 수렴하지 못하고 지상으로 공기가 하강합니다
그럼 공기가 상층에서 지상으로 하강하면 지상에는 어떤 기압이 생기게 될까요??
저희가 고등학교 과학 때 배운 걸 생각해보면 저기압은 반시계 상승기류, 고기압은 시계 하강기류이기 때문에
2번 부분의 지상에서는 고기압이 생깁니다
그럼 4번은 어떻게 될까요?
2번 과는 정반대의 일이 생기기 때문에 지상에 저기압이 생기게 됩니다
저렇게 고기압성 경도풍 부분을 기압능, 저기압성 경도풍 부분을 기압골이라고 부릅니다
다시 원래 내용으로 돌아와서
저희가 고등학교 때 배웠던 내용을 생각해보면 고기압의 중심에서는 맑고 깨끗한 날씨가 나타나고
저기압의 중심부에서는 상승 기류로 인해 적란운이 많이 생기게 되고 꾸물꾸물한 날씨가 나타난다고 배웠습니다
일기도를 보고 왜 지금 꾸물꾸물하고 내일 비가 오는지 보겠습니다
먼저 상층 일기도 입니다
한반도의 왼쪽 부분에 거대한 기압골이 존재하는게 보이시나요?
기압골에서는 저기압성 회전이 나타나기 때문에 하얼빈 지역 근처에 저기압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다음은 지상일기도 입니다
눈치가 빠르신 분들은 바로 저기압이 어디에 있는지부터 찾아보셨을 겁니다
다음 사진은 제가 두 개를 합쳐봤는데 잘 안보여서 설명이 필요한 부분들은 그려봤습니다
잘 보셔야 해요!
보라색 선은 상층 등압선이고 검은색 선은 기압골의 축, 빨간색 L은 지상 저기압의 위치입니다
보시면 저기압성 경도풍의 오른쪽에서는 다음 고기압성 경도풍으로 넘어가는 길이기 때문에
발산이 일어나고 상승 기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하층 저기압이 발생한다고 말씀드렸었져??
바로 보겠습니다
저기압성 경도풍의 중심축인 검은색 선의 오른쪽에서 상층 발산으로 인한 저기압이 생길걸 예상할 수 있고
실제로 지상에 저기압이 위치한 걸 볼 수 있습니다
결론은 지상 일기도를 보면 저기압이 굉장히 넓게 분포하고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오늘 한반도에 구름이 많고 내일 비가 오는 것은 상층에 생긴 발산으로 인해
지상에 저기압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한반도가 저기압 영향권에 들면서
상승 기류로 인해 운량이 많아졌고 비도 올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앞에 포스팅에서도 산불을 보면서 다른 기상학 개념과 연관을 지을 수 있는게 신기했었는데
이번에는 정말 어려운 내용까지 끌어온 것 같아서 죄송스럽네요 ㅠㅠ
정말 정말 쉽게 설명해놨기 때문에 한 번 쯤은 읽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산불을 잘 탐지하고 산불을 잘 잡는 것도 능력이라고 생각하지만
아예 산불이 일어나지 않도록 모두가 조심하는게 제일 좋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파이썬 > 기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리안 2호 위성으로 합천 산불 보기 (+ 푄 현상, 양간지풍) (2) | 2023.03.08 |
---|---|
천리안 2호 위성으로 대구 산불 보기 (2) | 2023.03.05 |
작업25: 강릉 강설 분석해보기 (2) | 202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