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148

작업7 : Fortran으로 파장 별 방출에너지 구하기

오늘은 온도별 방출 에너지를 구해보겠습니다 개념 설명) 태양의 온도를 저희는 흔히 6000도 또는 5777K라고도 합니다 이 온도에서 방출하는 복사에너지 덕분에 지구에 빛이 들어오고 사람이 살 수 있는 온도가 생기는 겁니다 그럼 태양보다 더 뜨거운 항성은 태양과 똑같은 에너지를 방출할까요?? 아닙니다 물체는 온도가 높을수록 방출하는 에너지가 큽니다 가지고 있는 열을 방출하는게 복사 에너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첫번째 사실을 하나 알았죠?? 온도가 높으면 복사에너지가 크다 두번째는 파장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복사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파장과 진동수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파장은 골과 골, 마루와 마루 사이의 길이를 말하고 진동수는 이 파장이 1초에 진동하는 횟수를 말합니다 진동한다는 말의 의미는 처음 위..

Fortran 2022.10.26

작업6 : Fortran으로 합성 풍속 풍향 구하기2

저번 포스팅과 이어집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포트란에 바람 방향을 입력시켜주기 위한 각도 변환 과정을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직접 코드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오늘 코딩은 미리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관측된 하루 동안의 바람을 가지고 계산을 해볼 것이기 때문에 시간대 별 풍속과 풍향 자료가 필요합니다 0:00 1.1 290 1:00 0.5 20 2:00 0.5 200 3:00 2.9 50 4:00 3.3 50 5:00 1.6 340 6:00 1.5 320 7:00 2.0 360 8:00 2.1 50 9:00 2.3 70 10:00 2.1 90 11:00 1.6 70 12:00 2.3 90 13:00 2.3 90 14:00 1.6 90 15:00 1.7 90 16:00 1.7 5..

Fortran 2022.10.26

작업5 : Fortran으로 합성 풍향 풍속 구하기1

이번에는 합성 풍속과 풍향을 구해보겠습니다 평균 풍속 풍향이라고만 하면 하루동안 측정한 자료를 모아서 24시간으로 나누면 되지 않냐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풍속은 1시간마다 측정하여 24로 나누는 산술평균 방법을 사용해도 괜찮지만 방향을 포함하고 있는 풍향은 얘기가 좀 다릅니다 벡터 형태이기 때문에 방향이 정말 중요합니다 바람의 성분) 바람 벡터를 동서 성분과 남북 성분으로 나누어서 주로 생각합니다 쉽게 표현하기 위해 동서 성분은 u성분, 남북 성분을 v성분이라고 부릅니다 합성 풍향 풍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평균 풍향 풍속을 먼저 구해야합니다 원래는 이런 공식을 사용해서 구한 다음 해야하지만 조금 더 쉬운 공식을 사용하겠습니다 그전에 기상학적 바람 벡터와 수학적 바람벡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기상학적 바람 벡..

Fortran 2022.10.26

작업4 : Fortran으로 시간방정식 계산하기

이번에는 저희 대기복사 교재에 있는 시간방정식을 계산해보겠습니다 개념 자체는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시간방정식의 의미) 균시차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쉽게 말해서 해시계로 읽은 시간과 기계적으로 읽은 시간의 차이를 말합니다 흔히 저희가 사용하는 시계는 24시간이지만 실제 태양시는 24시간이 아닙니다 하루하루 차이는 작을 수 있지만 1년 동안 누적되면 생각보다 커집니다 이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의 경사와 공전 궤도의 이심률 때문입니다 지구의 공전궤도가 타원이기 때문에 태양에 가까워 질수록 공전속도가 빨라지고 멀어질수록 느려지게 됩니다 이를 근일점과 원일점이라고 합니다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 공전궤도 위를 지나기 때문에 태양이 지나가는 길, 즉 황도가 일정할 수 없습니다 이 두 가지 이유로 인해 차..

Fortran 2022.10.26

작업3: Fortran으로 태양의 적위 계산하기

오늘은 태양의 적위를 계산해보겠습니다 먼저 적위가 뭔지 알아볼께여 적위를 이해하기 위해선 천구라는 것부터 알아야합니다 천구는 관측자나 지구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무한대인 커다란 구를 말합니다 별들이 이 천구에 박혀있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천구 안의 지구는 자전축이 23.5 도 기울어진채 자전을 합니다 지구의 적도에서 천구로 적도를 무한히 확장했을 때 생기는 원을 천구의 적도라고 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그럼 적위는 무엇일까요?? 천구의 적도와 태양이 이루는 각을 적위라고 합니다 말로만 하면 이해가 어려우니 그림을 가져올께여 위의 사진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이심률을 계산하는 공식이 2개라고 했었는데 적위는 1개 더 많은 3개나 됩니다 이렇게 3개나 됩니다 길어보이지만 충분히 할 ..

Fortran 2022.10.26

안반데기 2회차 : 유성찍은 날

이번 사진들은 저번 8월 12일 페르세우스 유성 극대기에 찍었던 사진들입니다 ​ 저도 운좋게 유성 사진을 5장 정도 찍는데 성공을 했습니다 ​ 저는 저날 삼각대도 까먹고 안들고 가서 ​ 바닥에 핸드폰을 돌에 기대놓고 찍었어요 ㅠㅠ ​ 그만큼 별거 없어서 별사진을 찍을 수 있으니까 여러분들도 꼭 한 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제일 유성이 선명하게 찍힌 사진입니다! 이 사진은 같이 간 동생이 인공위성이라고 하더라구요 ​

별 사진 2022.10.18

안반데기 1회차

저는 강릉에서 살기 때문에 별사진을 찍으러 안반데기를 자주 갑니다 ​ 고도도 높고 빛이 거의 없어서 아주 잘 보입니다 ​ 꼭 한 번 와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카메라도 늘 쓰던 캐논 700D가 있기는 하지만 노이즈가 너무 심하게 나와서 핸드폰으로 주로 찍습니다 ​ 갤럭시 프로 모드를 사용하면 야무지게 잘 찍힙니다 ​ ISO와 셔터 스피드 2개만 잘 조정하지면 찍으실 수 있습니다 ​ 또 갤럭시는 프로모드에서도 울트라 와이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더 넓게 찍기도 가능합니다 ​ 일반 프로 모드에서는 ISO 640, 셔터스피드 8초로 하구여 울트라 와이드에서는 ISO 800, 셔터스피드 30초로 설정하고 합니다 ​ 꼭 저렇게 하셔라는 아니니까 자신의 취향에 맞게 더 밝게 찍고 싶거나 어두웠으면 좋겠다 하시면 조정하시..

별 사진 2022.10.18

작업7 : Python을 통한 GUI 프로그래밍2

저번 GUI 프로그래밍1에 이어서 2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 오늘 설명드릴 부분의 코드입니다 ​ 오늘 부분은 전체적인 내용은 1편에 있던 찾기 버튼을 눌렀을 때 이제 저희가 보고 싶은 자료가 나와야 하겠죠? 그 부분을 만들어준겁니다 def data(self): getdata1 = self.location_combo1.get() getdata2 = self.location_combo2.get() print(getdata1, getdata2) stn = '속초(90)', '철원(95)', '대관령(100)', '춘천(101)', '강릉(105)', '동해(106)', '원주(114)', '영월(121)', '인제(211)', '홍천(212)', '태백(216)' year = list(range(2000, 2..

파이썬 2022.10.18

작업6 : Python을 통해 GUI 프로그래밍 1

이번 작업은 제가 정말 오랫동안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 일주일 정도 걸렸던 것 같습니다 ​ 새로운 코드들을 적용하고 하는데 시간 자체는 오래 걸리지 않았지만 ​ 이 코드들을 원하는 대로 만들고 싶기도 했고 보기 편하게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코드 자체도 148줄로 꽤 길고 설명드려야 할 것도 많기 때문에 ​ 여러 파트로 나누어서 하겠습니다 코드 from hashlib import new from tkinter import * import tkinter.font from tkinter import ttk import pandas as pd import csv #----------------------------------------------------------------..

파이썬 20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