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148

LINUX : cmd에 Linux 설치 (Ubuntu-20.04)

cmd에 리눅스 설치하는 법입니다 전에 NCL에서 Microsoft Store에서 설치해서 사용하는 법을 사용했었는데 이 방식이 훨씬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먼저 아래 코드는 버전 확인입니다 wsl --install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C:\Users\이수현>wsl --install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 이미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설치할 수 있는 유효한 배포 목록입니다. 'wsl --install -d '를 사용하여 설치하세요. NAME FRIENDLY NAME Ubuntu Ubuntu Debian Debian GNU/Linux kali-linux Kali Linux Rolling Ubuntu-18.04 Ubuntu 18.04 LTS Ubuntu-20.04 Ubuntu 20.04 ..

리눅스 2023.06.11

작업28: NCL로 시각화한 자료 파이썬으로 gif 만들기1

오늘은 NCL로 그렸던 파이썬을 이용해서 하나로 묶어서 gif 파일로 만들어보겠습니다 구글 드라이브 내에 있는 png를 찾기 보다는 디렉토리를 새로 만들어서 그 안에 png 파일들을 전부 넣고 일괄적으로 추출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먼저 코드입니다 cd '/content/drive/MyDrive/png' from PIL import Image import numpy as np al = [] for i in np.arange(0, 48, 1): st = "{}".format(i) + '.png' al.append(st) frames = [] for i in al: new_frame = Image.open(i) frames.append(new_frame) frames[0].save('TS.gif',..

파이썬 2023.05.04

작업7: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3

오늘은 NCL로 0 ~ 23시까지 시간별로 그림을 한 번에 그려보겠습니다 오늘의 코드입니다 fi = addfile("/home/lee/MERRA2_400.tavg1_2d_rad_Nx.20220331.nc4", "r") time = fi->time lat = fi->lat lon = fi->lon ts = fi->TS ;resorece res = True res@gsnRightString = "Temperature unis : K" res@mpCenterLonF = 180 res@cnFillOn = True res@cnLinesOn = False res@cnLevels = ispan(200, 340, 10) res@cnLevelSelectionMode = "ExplicitLevels" ;res@cnMinL..

NCL 2023.05.03

작업6: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2

오늘도 NCL입니다 그동안은 한 프레임에 1가지 그림만 들어갔지만 이번에는 파이썬에서 ax[2,2]처럼 여러 가지 그림을 한 번에 그려보겠습니다 추가로 반복문을 이용해서 0 ~ 23까지 시간별로 있는 그림들을 한 번에 그려보는 것도 해보겠습니다 오늘 코드입니다 fi = addfile("/home/lee/MERRA2_400.tavg1_2d_rad_Nx.20220331.nc4", "r") time = fi->time lat = fi->lat lon = fi->lon ts = fi->TS ;wks open plt = new(4, graphic) wks = gsn_open_wks("png", "surface_tem") hour = (/"0H", "1H", "2H", "3H"/) ;resorece res = Tr..

NCL 2023.05.02

작업5: NCL로 netCDF 파일 시각화하기1

오늘은 오랜만에 NCL 포스팅 입니다 기상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인 netCDF 자료를 시각화 해보겠습니다 먼저 코드입니다 fi = addfile("/home/lee/MERRA2_400.tavg1_2d_rad_Nx.20220331.nc4", "r") time = fi->time ts = fi->TS({0},:,:) lat = fi->lat lon = fi->lon wks = gsn_open_wks("png", "surface_tem") res = True res@gsnLeftString = "Surface Skin Temperature" res@gsnRightString = "Temperature unis : K" res@mpCenterLonF = 180 res@cnFillOn = True re..

NCL 2023.05.01

작업27: 파이썬으로 대기 상단 연평균 일사량 계산하고 시각화하기2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대기 상단 일사량을 계산하고 시각화 해보겠습니다 저희가 해야할 건 이 공식을 계산하는 코드를 구현하면 됩니다 대기 상단 일사량은 시간각하고 똑같게 위도별로 365개를 계산해줘야합니다 과제에는 위도별 평균 일사량과 적도, 북위 30, 60, 90도에서의 그래프 이렇게 2가지를 요구하고 있기에 일반적으로 계산된 값이 나열된 자료와 평균값 이렇게 2개가 필요합니다 바로 가보겠습니다 def cal_e(phi): ii = [] s = 1361 d1 = de d2 = be for i in range(len(d1)): E = (s/np.pi) * d2[i] * (globals()['a{}'.format(phi)][i] * np.sin(np.radians(phi)) * np.sin(np.radia..

파이썬 2023.04.30

작업26: 파이썬으로 대기 상단 연평균 일사량 계산하고 시각화하기1

정말 오랜만에 파이썬 글을 쓰네요.. 시험 기간이기도 하고 연구실 구성하는거랑 이것 저것 일이 많아서 좀 걸렸네요 ㅠㅠ 그동안 했던 것들을 다시 하나씩 올려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대기 상단 연평균 일사량을 계산해보고 시각화해보려고 합니다 기후학이라는 과목에서 과제로 나왔습니다 다음에 기후학을 듣는 학생들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코드 공유전에 몇가지 공식들 설명이 필요합니다 포트란으로 적위와 이심률을 계산했던 포스팅이 있어서 보셨을만한 공식입니다 순서대로 태양의 적위, 감마, 이심률 공식입니다 포트란으로 계산해 둔 테이블이 있지만 이번에는 파이썬으로도 새로 계산해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다음은 시간각입니다 정확히는 일출 시간각을 구해서 사용합니다 이렇게 구해진 3가지 값을 이용해서 아래 공식을 계산합..

파이썬 2023.04.30

쉽지 않은 강릉 대학 생활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셤기간이기도 하고 대학원 준비고 하고 있어서 블로그가 손에 잘 안잡혔던 거 같아요 더 미루면 못쓸거 같아서 일상이라도 올려보려고 합니다! 쫌 많이 지나긴 했는데 11일이었죠 강릉에 매우 강한 바람이 불었던 날 산불도 났었습니다 강릉에 그때 불었던 바람이 풍속이 어마어마 했습니다 이 사진이 강풍이 불었던 날에 수직층풍입니다 풍속 깃에 색깔이 심상치 않습니다 거의 60노트에서 70노트, 많게는 상층에서는 80노트의 바람도 불고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빠른 바람인지 4월 21일과 비교해보겠습니다4월 21일의 풍속깃 색깔을 보시면 하층에서는 10노트 15노트 정도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1노트는 0.514m/s입니다 10노트면 5m/s 정도의 바람이 분다고 생각하시면 ..

일상 2023.04.22

천리안 2호로 하동 산불 보기 (+ 기압골, 경도풍)

오늘 또 다시 하동에 산불이 났다고 합니다 뉴스를 보니까 한 두 군데 난게 아니더군요 광주, 하동, 대구부터 충남에서 4건, 경기도에서도 2건이 났다고 합니다 매년 3월에서 4월에는 산불이 자주 났다고는 하지만 유독 올해는 전국적으로 많이 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 났던 산불 중 대응 2단계 발령까지 났던 하동 산불을 보려고 합니다 저는 어떤 걸 보거나 분석하기 위해서는 비교 대상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앞에 대구와 합천 산불의 경우도 울진과 비교를 했었죠 이번에도 울진 산불과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조금 다릅니다 이전에는 RGB 천연색 채널로 산불의 연기가 피어오르고 흩어지는 모습을 직접 봤다면 이번에는 아예 천리안 2호에 있는 산불 탐지 채널을 이용했습니다 한 번 볼까요? ..

천리안 2호 위성으로 합천 산불 보기 (+ 푄 현상, 양간지풍)

오늘 3월 8일에 경남 합천군 용주면에서 다시 한 번 대형 산불이 났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올해 들어처음으로 위기경보 심각, 대응 3단계까지 발령나면서 주민분들도 긴급하게 대피할 정도로 크게 났더군요 대구 산불 이후에 더 안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는데 큰일인 거 같습니다 이번에도 주변 환경 자료와 위성사진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합천을 보기 전에 저번 포스팅에 있었던 울진을 한 번 더 가지고 왔습니다 다른 시간대에서 훨씬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여서 가지고 와봤습니다 추가로 동해 산불도 같이 보입니다 검은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에 선명하게 연기가 올라오는게 보이시나요?? 봄철 산불은 워낙 거대하게 일어나가 보니까 위성 사진에도 저렇게 선명하게 나옵니다 바로 합천을 봐볼까요? 합천 산불의 경우 울진 처럼 선명하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