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파이썬 53

천리안 2호 위성으로 합천 산불 보기 (+ 푄 현상, 양간지풍)

오늘 3월 8일에 경남 합천군 용주면에서 다시 한 번 대형 산불이 났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올해 들어처음으로 위기경보 심각, 대응 3단계까지 발령나면서 주민분들도 긴급하게 대피할 정도로 크게 났더군요 대구 산불 이후에 더 안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는데 큰일인 거 같습니다 이번에도 주변 환경 자료와 위성사진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합천을 보기 전에 저번 포스팅에 있었던 울진을 한 번 더 가지고 왔습니다 다른 시간대에서 훨씬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여서 가지고 와봤습니다 추가로 동해 산불도 같이 보입니다 검은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에 선명하게 연기가 올라오는게 보이시나요?? 봄철 산불은 워낙 거대하게 일어나가 보니까 위성 사진에도 저렇게 선명하게 나옵니다 바로 합천을 봐볼까요? 합천 산불의 경우 울진 처럼 선명하지는 ..

천리안 2호 위성으로 대구 산불 보기

이제 겨울이 거의 다 가고 봄철이 온 것 같습니다 어떤 분들에게는 봄철은 따뜻하고 평화로운 계절일 수도 있지만 저한테는 항상 산불을 조심해야하는 계절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작년 3월 초에도 울진과 동해에서 큰 산불이 있었죠 강릉도 산불이 동시에 나는 바람에 제 자취방까지 탄 내가 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대구 송현동에서 또 산불이 났다고 합니다 도시와 가까운 곳이라서 위험하다고 합니다 기상학도의 시선으로 산불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저번 울진 산불의 경우와 비교해서 한 번 보겠습니다 산불도 규모가 큰 재난재해인 만큼 위성사진으로도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먼저 울진 산불을 보겠습니다 위성 자료는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가져왔습니다 자세한 자료 설명은 아래 표에 있습니다 위성 이름 천리안 2A 자료 레벨 기..

작업25: 강릉 강설 분석해보기

어제 아침에 일어나니까 눈이 엄청 많이 와 있더라구요 그래서 제 나름대로 어떤 원리로 눈이 내리는지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강릉은 눈이 이만큼이나 왔습니다 방재기상정보시스템에서 자료를 조회한 결과 2월 15일 16시 기준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에 위치한 북강릉 관측소에서 25.4cm 강원도 강릉시 용강동에 위치한 강릉 관측소에서는 13cm로 관측이 됐습니다 저번에 눈이 왔을 때도 10cm가 넘지 않았었는데 이번에는 왜 이렇게 많이 내린건지 궁금해졌습니다 여러분들도 영동지방의 기상 예측이 어렵다는 것을 한 번 쯤을 들어보셨을겁니다 태백 산맥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굉장히 변칙적이거나 증폭되어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서울과 같은 영서 지방과 눈이 내리는 메커니즘도 약간 다릅니다 제가 배운 내용으로는 ..

작업24: Chat GPT 사용해보기3 (로렌츠 방정식)

오늘도 Chat GPT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한 날씨 모델을 요구해서 정말 간단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질문에서부터 복잡한 모델을 만들어 달라고 했습니다 - Make a more complex numerical model with Python and show me the code. (Python으로 더 복잡한 수치 모델을 만들고 코드를 보여줘) 결과는 이렇게 나왔습니다 이 예에서, 우리는 방정식의 로렌츠 시스템을 정의하고 시간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해결하기 위해 싸이파이 라이브러리의 solve_ivp 함수를 사용한다. 그런 다음 솔루션을 표시하여 변수 x, y 및 z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줍니다. 로렌츠 시스템(Lorenz system)은 대기의 단순화된 모델의..

파이썬/Chat GPT 2023.02.12

작업23: Chat GPT 사용해보기2

오늘도 역시 Chat GPT를 사용해보겠습니다 - Make a weather model out of Python and show me the code. (파이썬으로 날씨 모델을 만들어서 코드를 보여줘) 첫번째 질문은 아무 조건도 주지 않았습니다 Chat GPT에 대해서 알아보던 중에 조건을 주고 계산을 시켜도 특정 조건에 맞게 해준다고 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일단은 조건은 주지 않으려고 합니다 결과는 이렇게 나왔습니다 여기 온도, 습도 및 풍속을 고려하고 이러한 매개 변수를 기반으로 날씨를 예측하는 Python의 간단한 날씨 모델 구현이 있습니다. 라는 간단한 코멘트도 달아줬습니다 다른 입력으로 함수를 호출하여 날씨 예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날씨 모델의 구현일 뿐 날씨를 정확하게 예..

파이썬/Chat GPT 2023.02.11

작업22: Chat GPT 사용해보기1

오늘은 요즘 정말 많은 화제가 되고 있는 ChatGPT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우선 Chat GPT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Chat GPT는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대화형태로 하는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장이나 단어에 대해 Chat GPT가 질문을 하거나 실수를 지적하고 알 수 없는 명제들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잘못된 요청에 대해서는 거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보통 언어 모델들은 자동 완성 시스템을 이용합니다 '내가 OOO OO을 넣어서 물을 끓였더니 보리차가 나왔다' 라는 말에서 OOO OO만 보고는 뭔지 전혀 모르지만 뒤에 보리차가 나왔다 라는 결과가 있기 때문에 보리차 티백을 넣었다고 완성을 할 수 있는 것이죠 여기서 이제 중요한 말이 나옵니다 Chat GPT도 언어 모델이라..

파이썬/Chat GPT 2023.02.08

작업21: Metpy로 단열선도 그려보기 (SkewT)

한동안 설 연휴도 있고 학습동아리도 겹치다 보니까 포스팅을 못하고 있었네요 학습 동아리에서 단열선도를 그려봤는데 이걸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그림을 그리려면 왜 이 그림이 필요한지를 알아야겠죠?? 단열선도가 무슨 그림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단열선도란 쉽게 말하면 하늘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정확한 정의는 고층 기상관측을 통한 관측값들을 연직구조를 보거나 대기 중에 다양한 열역학적인 과정들을 이해하기 위한 그림입니다 보통 ASOS나 AWS 기상관측보다는 훨씬 높은 고도의 상태를 보기 위해서 입니다 그럼 당연히 필요한 자료도 종관기상관측 자료가 아니라 고층기상관측 자료가 필요하겠죠?? 기상자료를 얻는 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기상자료개방포털을 이용하면 아주아주 편리합니다 기상자료개방포털로 접속해서 관측 > 기상관..

파이썬/metpy 2023.02.08

작업20: Metpy로 온도 단위 다뤄보기 (degC, degF)

오늘은 단위 다루기 마지막 온도 단위를 다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들에서는 길이나 시간과 같은 단위들을 다뤄봤습니다 이 단위들을 곱하거나 나누는 것만 가능했었죠?? 그럼 이제 온도 단위를 생각해보겠습니다 5℃ x 10℃ = ?? 위 식이 계산이 가능한가요?? 보통 값을 곱할때 단위도 같이 곱해지기 때문에 위 식을 계산하면 ℃^2 이라는 단위가 나와야합니다 그런데 ℃^2 이런 단위가 있나요?? 당연히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럼 여기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온도 단위는 더하거나 빼는거만 가능하다'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것들을 파이썬으로도 실행해보겠습니다 온도 단위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보통적으로 사용하는 ℃(도씨), si 단위계에 속하는 K(켈빈), 미국에서 자주 사용하는 ℉ 이렇게 3가지입니다 이번 ..

파이썬/metpy 2023.01.13

작업19: Metpy로 단위 변환 해보기 (ito)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Metpy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저번에 단위를 달아보고 단위 연산까지 해봤습니다 이번에는 단위 변환하는 모듈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위 변환이라는 말의 뜻은 다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1m = 100㎝, 1㎝ = 10㎜, 1m = 1000㎜ 이런 과정을 말합니다 과학에서는 단위를 가지고도 새로운 변수를 만들어낼 정도로 단위가 중요합니다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단위인 미터를 예시로 사용해보겠습니다 1m = 3.28084ft (feet) = 1.093613yd (yard) = 39.370079in (inch) = 0.000621mile 이렇게 변환이 가능합니다 파이썬으로 직접 해볼까요? 1. feet a = np.arange(5.) * units.meter 단위 환산 a.ito('feet..

파이썬/metpy 2023.01.11

작업18: Metpy로 단위 달아보기 (metpy.units)

오늘부터는 대기과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인 Metpy를 이용해보려고 합니다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 자료도 직접 가지고 와서 SkewT log-p diagram 같은 그림들을 시각화해보고 분석도 해보겠습니다 우선 Metpy라는 라이브러리가 무엇인지 알아야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내용으로는 "기상 데이터를 읽고 시각화하고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 모음"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대기과 학생인 저한테는 딱 맞는 라이브러리죠?? 데이터를 읽고 시각화하는 건 그렇다고 쳐도 계산을 수행하는 도구는 다른 라이브러리에도 있는데 왜 또 포함하고 있고 기상 데이터를 계산한다고 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Metpy는 단위를 가지고 게산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이 단위가 단순히 문자열로 붙여주는 것을 떠나서 기압이면 10..

파이썬/metpy 2023.01.10